웹툰을 만드는 데 그림이 부담이 되었다면, 이제는 AI가 도와줄 차례입니다. Stable Diffusion과 함께라면 누구나 캐릭터 생성, 컷 연출, 배경 구성까지 가능하죠. 하지만 웹툰은 한 컷 한 컷이 이어져야 하기 때문에 일관성 유지와 연출력이 중요합니다.
이 글에서는 AI 웹툰을 만들 때 꼭 필요한 컷 구성, 캐릭터 관리, 프롬프트 활용법까지 초보자도 실전 투입 가능한 방식으로 정리해 드립니다.
AI 웹툰 제작 전체 흐름 간단 정리
AI 웹툰은 다음 순서로 제작합니다
- 스토리 기획 및 컷 구성 콘티 작성
- 주요 캐릭터 스타일 및 프롬프트 템플릿 확정
- 컷별 프롬프트 작성 → 이미지 생성
- 배경, 표정, 포즈 등 세부 연출 조정
- 툴(Pixlr, Photoshop 등)로 컷 정리 및 대사 삽입
계획 없이 생성하면 컷 간 연결이 어색하거나 캐릭터가 매번 달라지는 문제가 생기므로 초반 콘티와 캐릭터 정의가 매우 중요합니다.
일관된 캐릭터 유지하는 방법
1. LoRA 또는 TI로 캐릭터 고정
웹툰은 같은 인물이 반복 등장해야 하므로, LoRA나 Textual Inversion (TI)을 사용하면 캐릭터 스타일을 고정할 수 있습니다.
- LoRA: 의상, 헤어스타일, 얼굴 구조까지 정밀 제어 가능
- TI: 고유 이름 한 단어로 캐릭터 불러오기 가능
Civitai에서 ‘character LoRA’로 검색하면 많은 예시를 찾을 수 있어요.
2. 시드(seed) 고정
랜덤 시드를 쓰면 매번 다른 이미지가 나오므로, 컷마다 시드를 고정하면 구성은 바뀌어도 얼굴이나 색감이 유지됩니다.
3. 프롬프트에 정체성 반복
프롬프트에 항상 같은 키워드를 넣는 것도 효과적입니다. 예시:
1girl, short silver hair, red eyes, school uniform, smiling
컷 구성과 연출의 핵심 – 시점과 구도
1. 웹툰은 시점 연출이 50%
같은 장면이라도 앵글만 바꿔도 긴장감이 달라집니다. 아래는 자주 쓰이는 구도입니다:
- 로우앵글: 캐릭터 위엄, 극적 연출
- 하이앵글: 위축, 공포, 감정 표현
- 측면 클로즈업: 감정 전달 집중
- 와이드숏: 공간 배경 강조
2. 시점 전환은 다음 컷을 유도한다
컷이 단절되지 않으려면 시점 이동을 자연스럽게 배치해야 합니다. 예: 인물 등장 → 인물 시선 → 대상 클로즈업 → 반응 컷
배경 생성 요령 – 공간감과 감정의 분위기
1. 스타일을 일관되게
현실적인 배경과 애니풍 캐릭터는 잘 어울리지 않습니다. background, scenic, soft light 같은 키워드로 전체 통일감을 유지하세요.
2. 장소를 명확히 설정
프롬프트에 아래처럼 장소를 명확히 쓰면 배경 완성도가 높아집니다:
in a classroom, morning light, wooden desks, soft shadows
3. 감정을 배경으로 표현
- 불안, 긴장 → dark background, fog, blue tint
- 따뜻함 → sunset, warm colors, backlight
컷마다 감정 분위기를 배경으로 보완하면 몰입감이 올라갑니다.
프롬프트 작성 팁 – 컷마다 다르게, 그러나 연결되게
1. 핵심 요소는 반복
캐릭터 키워드는 고정하고, 동작·표정·시점 등만 바꿉니다.
1girl, short silver hair, red eyes, school uniform, surprised face, looking back
2. 컷별 특징 강조
- 감정 표현: angry face, sad eyes, tears
- 행동 표현: running, sitting, turning head
- 연출 효과: motion blur, zoom in, dramatic light
3. 프롬프트에 컷번호 주석 달기
컷별 이미지 정리 시 파일명 또는 프롬프트에 // cut 01
식으로 정리하면 관리가 쉽습니다.
실전 예시로 보는 컷별 구성 전략
에피소드: 고백 장면
- 컷 1: 소녀가 복도에 혼자 서 있음 –
nervous face, school hallway, morning
- 컷 2: 소년 등장 –
1boy walking, backlit, dramatic light
- 컷 3: 시선 교차 –
eye contact, close up
- 컷 4: 고백 –
1girl, blushing, hands clutched
이런 식으로 감정의 흐름과 컷 연결이 끊기지 않게 구성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FAQ
컷마다 캐릭터가 조금씩 다르게 나와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LoRA나 TI를 사용하거나, 시드 값을 고정하고 핵심 키워드를 반복하세요. 프롬프트도 최대한 동일하게 유지하세요.
배경이 계속 바뀌어요. 어떻게 통일하죠?
장소를 명확하게 설정하고, 동일한 키워드 조합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in a classroom', 'sunlight' 등 반복하세요.
컷별로 연결이 어색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시점 전환을 의도적으로 구성해 보세요. 대화→반응→와이드샷 등 자연스럽게 흐르도록 계획하면 컷 간 연결이 좋아집니다.
AI 웹툰 제작 요약
AI 웹툰 만들기 핵심 정리
- 콘티와 캐릭터 정의를 먼저 확정한다
- 캐릭터는 LoRA/TI + 시드 고정으로 일관성 유지
- 컷별 시점과 구도로 연출력을 높인다
- 배경 키워드는 감정과 장소에 맞게 반복
- 컷마다 프롬프트 주석 또는 구조화로 정리한다
추천글
Stable Diffusion 처음 설치하는 법 – WebUI부터 실행까지 따라하기
Stable Diffusion 처음 설치하는 법 – WebUI부터 실행까지 따라하기
제가 요즘 Stable Diffusion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설치 과정이 조금 복잡하게 느껴져서, 망설이는 분들도 많죠. 이번 글에서는 가장 대중적인 방식인 AUTOMATIC1111 WebUI 기준으로, 처음
catscivilization.com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글 내 기기 찾기 하는 방법 – 분실폰 위치추적부터 잠금까지 총정리 (3) | 2025.05.11 |
---|---|
Stable Diffusion 고급 팁 – VRAM 절약, 렌더 속도 향상, 모델 관리법 (0) | 2025.04.30 |
ControlNet으로 원하는 포즈 그대로 그림 그리기 – 모듈별 사용법 정리 (1) | 2025.04.30 |